[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 강좌 3. 펄미션

대망의 플러그인 및 펄미션 강좌네요 

 

플러그인은 어려운게 없는데...... 펄미션이 좀 귀찮습니다

 

플러그인 : 일종의 싱글플레이에서의 모드같은 것입니다. 명령어를 추가시켜주고, 몇가지 기능들도 추가시켜줍니다.

 

플러그인 넣는 법 : 구동기 및 버킷파일이 있는 폴더에 pulgins 폴더가 있을 것입니다. 그곳에 jar파일을 넣어주시고(jar파일 압축 푸시면 안됩니다!) 서버를 실행시키시면 됩니다.

 

펄미션 : 플러그인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펄미션 노드 : 플러그인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데 쓰이는 문장입니다.

 

펄미션 쓰는 법 :

 

일단 펄미션 파일을 받습니다. 저희 블로그의 다운로드-게임 카테고리에서 받으시면 됩니다.


모르시겠으면 이곳을 눌러주세요!

 

이 파일도 zip파일을 압축풀으신 후 jar파일을 plugins 폴더에 넣습니다.



 

이중에서 PermissionEx폴더에 들어갑니다.

 

나오는 파일 중 permissions.yml파일에 우클릭-속성에 들어가서 연결 프로그램을 wordpad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열어줍니다.

 

wordpad가 없으면 메모장이나 노트패드++등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메모장은 가끔 글씨가 깨질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나옵니다. 여기서 제가 조금 기본적인것은 작성해 놓았는데요...


 


사진 설명입니다.


사진만 봐서는 잘 이해가 안되실 겁니다.

 

펄미션 쓸때 -띄어쓰기''등 모두 주의하세요! 오류가 뜰 수 있습니다.

 

'modifyworld.*' 이 노드는 건축허가 노드입니다. 이 노드가 없으면 블럭을 놓거나 부술 수 없습니다.

 

'*' 이 노드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노드입니다. '*'는 서버의 모든 플러그인의 권한을 주는 것이고요, '플러그인이름.*'은 설정한 플러그인의 모든 권한을 주는 것입니다.

 

그룹 이름은 마음대로 설정하셔도 됩니다

 

펄미션 노드 쓰는 부분에서 -뒤에 띄어쓰기 주의하시고요, ''사이에 노드를 적어주세요. 노드는 한 줄에 하나입니다

예)

    permissions:

    - 'essentials.back'

    - 'essentials.home'

    - 'essentials.sethome'

 

앞에 붙는 수식어에서는 앞, 뒤에 붙는 색깔코드가 문장의 색깔을 조정해줍니다.

 

색깔코드

&0 검정

&1 진한파랑

&2 진한초록

&3 진한아쿠아

&4 진한빨강

&5 보라

&6 금색

&7 회색

&8 진한회색

&9 인디고

&a 밝은초록

&b 아쿠아

&c 빨강

&d 분홍

&e 노랑

&f 흰색

 

수식어 앞의 색깔코드는 수식어의 색깔, 수식어 뒤의 색깔코드는 채팅시 문장의 색깔을 설정해줍니다.

예)

perfix: '&4[Admin]&f'

 

뒤쪽 수식어에는 이런 기능이 없습니다.

 

상속 기능은 말그대로 설정한 그룹을 상속받는 것입니다. 사진에서는 admin 그룹이 default 그룹을 상속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admin그룹은 default그룹에 설정한 명령어를 모두 쓸 수 있게 됩니다.

 

유저 설정에서 유저이름: 부분에 유저 닉네임 쳐주시고요, 그 밑에 group: 부분에 들어가게될 그룹을 설정해 줍니다.

예)

    group:

    - admin

 

기본 그룹(default: true를 설정한 그룹)에 넣고 싶으실때는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본그룹 이외의 그룹에 넣고 싶으실때 유저이름, 그룹이름을 써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 밑부분은 개인 펄미션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SetRankPEX 플러그인

이 플러그인은 유저의 그룹을 이동시키는 펄미션입니다.

 

펄미션EX 노드

- 'permissions.manage.reload'  펄미션 리로드 권한을 설정합니다.

- 'permissions.*'  펄미션EX의 모든 권한을 설정합니다.

 

펄미션EX 명령어

/pex reload  펄미션을 리로드합니다.

 

SetRankPEX 노드

- 'srpex.setrank.그룹이름'  해당 그룹으로 유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권한을 설정니다.

- 'srpex.reload'  SetRankPEX플러그인 리로드 권한을 설정합니다.

- 'srpex.*'  SetRankPEX의 모든 권한을 설정합니다.

 

SetRankPEX 명령어

/setrank [플레이어] [그룹명]  [플레이어]의 그룹을 [그룹명]으로 바꿉니다.

/srpexr  SetRankPEX를 리로드합니다.

 

 

드디어 다 썻네요 ㅎㅎ

 

그러고보니 1시간동안 붙잡고 있었네......

 

펄미션이 원래 조금 어렵습니다. 모르시는건 언제든지 질문 주시고요, 오류 지적 환영합니다.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 강좌 2.5 서버 실행 오류

서버 실행 시 오류가 뜰 때가 있습니다.

 

해결 방법입니다.


사실은 플러그인 포스팅 귀찮아서 땜빵으로...ㅋ

 

1. 접속 화면에서 뜨는 오류

 

I. Bad Login 오류

 

서버 설정에서 Online-mode를 켜논 상태에서 마인크래프트 복돌 유저가 접속하려고 하면 생기는 오류입니다. Server.properties파일에서 Onlime-mode를 false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2. 서버 목록 창에서 뜨는 오류

 

I. Communication Error

서버 목록에서 서버 이름 밑에 이 문구가 뜬다면 서버와의 연결에 일시적인 오류가 생겼거나, 방화벽이 막았을 경우입니다.

콘솔(서버구동기)을 껏다 켜 보시고요, 그래도 안되면

- 1. server.properties파일에서 아이피 설정을 확인합니다.

- 2. 서버 추가를 할 때 아이피를 잘못 칠 수 있으므로 서버 추가를 다시 해봅니다.

- 3. 위의 방법을 했는데도 안 될 때에는

윈도우 XP : 제어판-Windows 방화벽-예외-포트 추가에서 이름은 마음대로, 포트는 25565, TCP에 체크하신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XP는 사진이 없는 점 죄송합니다!!!!) 

윈도우 Vista 이상 : 제어판-Windows 방화벽-고급 설정에서 왼쪽에 인바운드 규칙 클릭, 오른쪽에 새 규칙을 클릭하시고 포트, TCP, 특정 로컬 포트에 체크하시고 25565 입력, 다음 버튼을 두번 클릭하셔서 이름 설정하시고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II. 서버 이름 옆에 마인크래프트 버전이 뜨는 경우

 

 

사진에서는 잘 안보이는데요, 마인크래프트 버전과 버킷의 마인크래프트 버전이 다른 경우입니다. 버킷을 바꾸거나 마인크래프트 버전을 바꿔주세요.

 

 

3. 서버 실행시 콘솔에서 뜨는 오류 

 

I. Error: unable to access jarfile craftbukkit............. 

버킷 파일을 찾지 못할때 생기는 오류입니다. 이 경우에는 구동기(bat파일)를 메모장으로 열어주세요 


메모장으로 여는 법은 메모장을 실행(시작버튼-실행에 notepad 입력)하시고 파일을 메모장으로 끌어다 놓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그림과 같이 java -Xms1024M -Xmx1024m -jar craftbukkit....부분이 보이실 겁니다.

이 부분에서 맨 뒤의 'craftbukkit......jar'부분을 버킷 파일의 이름으로 바꿔주세요(확장자 .jar 꼭 붙이셔야 합니다!)


그 후 저장한 후 다시 실행합니다

 

 

II. Failed to bind the port!


 

포트를 찾지 못해서 나는 오류입니다.

 

Server.Properties파일에서 아이피 설정 확실하게 하셨는지 다시한번 확인하시고, server-port에서 포트도 확인해주세요. 포트는 25565입니다

 

그래도 안되신다면 작업 관리자(Ctrl+Alt+Del/Ctrl+Shift+Esc)를 실행하셔서 프로세스 탭에서 java.exe나 javaw.exe를 찾아주세요

 

그 후 프로세스 종료를 클릭합니다.




 

그 후에도 안되신다면 실행(윈도우키+R)창에서 cmd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netstat -anob>1.txt를 입력합니다.



 

다 될때까지 기다립니다. 한 1-2분정도 걸립니다. 키보드로 cmd창에 입력이 되면 다 된것입니다.

 

다 되었으면 1.txt라고 입력합니다. 그러면 텍스트 파일이 뜹니다.

 

이 파일에서 25565를 찾습니다(검색기능 Ctrl+F)

 

'아이피:25565' 형식으로 된 것을 찾으셔야 합니다.

 

찾으셨으면 아이피:25565 바로 밑에 []안에 들어있는 텍스트를 봐주세요. 그 후 그 텍스트를 작업 관리자-프로세스에서 찾아 프로세스를 끝냅니다.

 

 

 

오류 제보 환영합니다. 글의 오류 지적 환영입니다. 오류 제보를 받았거나 오류가 있으면 수정하겠습니다.

게임/게임리뷰 2013. 8. 9. 19:25

[게임소개] 스포츠 - Football Manager

heechun입니다.

오늘은 악마의 게임이라 불리는 풋볼매니저 시리즈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제가 소개해드릴 버전은 풋볼매니저 시리즈의 최신작. Football Manager 2013입니다.

풋볼매니저의 제작사는 Sports Interactive, 유통사는 SEGA입니다.

자신이 축구 감독이 되어 팀을 운영해나가는 게임입니다.

같은 스포츠-축구 장르의 게임인 EA Games의 FIFA시리즈와 비교해보면 여러가지 차이점이 있는데요

일단 FIFA시리즈는 자신이 직접 모든 선수들을 조종해 플레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풋볼매니저 시리즈는 자신이 선수들을 조종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무슨 재미로 하냐고요?

풋볼매니저 시리즈는 FIFA 시리즈보다 현실적입니다.


일단 경기면에서 경기 중간중간에 직접 전술지시가 가능하고, 세부적인 전술. 즉 선수 개개인의 역할 밑 세트피스시 전술, 수비수가 볼을 뺏엇을 시 어느 방향으로 패스하는지까지 모두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깊이 들어가면 오버래핑 빈도, 크로스 빈도, 크로스 방향, 패스 유형, 슈팅 빈도, 오버래핑 위치, 전개 속도 등 실제 감독이 전술 지시를 하는 것처럼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 모든것을 경기 중간중간에 수정도 가능하고요.

또 경기 시작 전과 하프타임의 락커룸에서 감독과 선수들간의 대화가 가능합니다.


다음은 이적면입니다. FIFA 시리즈는 원하는 이적료만 맞춰주면 대부분의 선수들이 이적을 하는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풋볼매니저 시리즈도 원하는 이적료를 맞춰주면 선수들이 이적을 합니다. 그러나 그 팀의 중요한 선수라면 실제 몸값의 몇배까지 뛸 수도 있고 상대 구단이 아이에 보내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또 부대조항으로 재이적시 이적료 차익의 일부 지급, 친선경기 갖기, 몇 회 출장시 얼마 지급 등 세부적인 협상이 가능합니다.

 선수와의 협상은 실제 협상하는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로 출장 수당, 우승 보너스, 강등 시 급료 삭감, 골 수당, 에이전트 수수료 등 세부적인 것까지 협상을 해야 합니다.

선수 검색도 다양한 변수를 가지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 스카우터를 파견해 어떤 선수를 조사하라고 하면 예상 이적료, 예상 급료, 선수의 포지션, 우리 팀의 같은 포지션 선수들과 비교까지 해 줍니다.

스카우터도 매우 현실적인게, 스카우터를 파견해놓으면 정기적으로 보고서를 보내옵니다. 추천하는 선수들과 함께. 자신이 직접 원하는 임무를 배정할 수도 있습니다. 스카우터는 말로는 설명이 힘든것들이 많네요..ㅎㅎ


셋째로 팀 및 선수 관리면입니다.

FIFA 시리즈는 팀 관리 및 선수 관리에서 구현된 기능이 선수 이적, 전술 설정 등 매우 적었습니다. 그러나 풋볼매니저 시리즈는 훈련, 코치진, 스탭, 보드진 등 구현된 기능이 매우 많습니다.

일단 스카우터 및 코치, 선수들과의 계약을 직접 체결할 수 있습니다. 귀찮다면 수석 코치에게 위임할 수도 있습니다.

또 선수 개개인의 훈련, 팀 전체의 훈련, 다음 상대팀 대비 전술 훈련 등 훈련도 매우 다양하게 할 수 있습니다.

팀 전체와의 면담, 선수 개개인과의 면담도 가능합니다. 면담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선수의 사기가 상승 혹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보드진과의 면담을 통해 팀 운영에 대해 많은 것들을 요청, 의논할 수도 있습니다. 또 선수의 위상, 즉 주전 멤버, 핵심 선수, 로테이션 멤버, 백업 선수, 필요없는 선수, 뛰어난 유망주, 어린 선수 등의 설정이 다양하게 가능합니다.


넷째로 언론면입니다.

FIFA 시리즈는 언론의 기능이 많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풋볼매니저 시리즈에서는 언론의 기능이 매우 중요하고 많습니다. 경기 전, 후마다 기자회견-수석코치에게 대신 참석요청도 가능-을 하고 이적설, 선수 영입 발표, 선수 및 감독들에 대한 코멘트까지 가능합니다. 언론에서 어떻게, 어떤 말투로 이야기하냐에 따라서 선수들의 컨디션 및 사기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팀 감독직에 대해 관심을 표명하거나 관심이 없음을 밝힌다면 보드진의 신임도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수정예정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 강좌 2. 서버 실행 및 설정

안녕하세요 heechun입니다.

이번에는 서버 실행 및 설정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마인크래프트 서버 구동기.bat

첨부파일을 받아줍니다

간혹 바이러스로 잡힐 수도 있으나 절때 바이러스가 아닙니다! 직접 만든거입니다! 의심가면 메모장으로 열어보세요! 


그리고 http://dl.bukkit.org/downloads/craftbukkit/ 에들어갑니다.

 

이중에서 보셔야 할 건 Version입니다.

Version을 보면 'X.X.X-RX.X'의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중 앞의 세 숫자는 마인크래프트 버전이고요, R뒤의 숫자는 버킷 버전입니다.

 

서버는 마인크래프트 버전만 맞으면 잘 돌아갑니다.

 

그렇지만 버킷 버전이 높으면 뭔가 개선되었다는 것이겠죠?

 

참고로 정식 버전은 X.X.X-R1.0, 나머지는 개발 버전입니다. (아무거나 쓰셔도 상관없습니다. 둘 다 지금처럼 java 개발 이외의 서버만 여는 경우에는 기능상 차이가 없습니다)

 

이 파일들 중 자신에게 맞는 파일을 오른쪽의 초록색 화살표를 클릭하여 받습니다.


마인크래프트가 업데이트되면 버킷도 바뀌므로 이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버전이 다른 두개 이상의 버킷이 한 폴더에 있으면 꼬일 수 있습니다. 버킷을 받으면 반드시 전 버킷은 지워주세요!!!


그리고 제가 올려드린 구동기와 같은 폴더에 넣습니다.


만약 버킷의 이름이 craftbukkit으로 시작하지 않는다면 바꿔주세요. (예 : craftbukkit-1.5.2-R1.0)

 

자. 이제 구동기를 실행합니다

실행하면 도스창이 뜹니다.

서버 실행인 1번을 입력하시고 램 할당량은 일단 1024로 해주세요

잠깐! 램 할당량!

램 할당량은 서버에 램을 얼마나 넣어 줄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높을수록 서버렉은 줄어들죠.

그러나 자신의 컴퓨터 램 용량에 비해 과한 양을 설정하시면 컴퓨터가 버티지를 못합니다.

자신의 컴퓨터 램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제가 구동기에 기능을 넣어 놓았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실행(윈도우키+R)창을 열고 dxdiag를 입력합니다.

디지털 드라이버가 인증~어쩌고 뜨면 아니요 누르시고요,

그 후 뜨는 창에서 밑에서 3번째 메모리가 램의 용량입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만약 나오지 않고 오류가 난다면 일단 http://jaedo98.blog.me/130155424694 여기에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제 블로그입니다. ㅎㅎ 블로그 이전중이거든요.

이런 화면이 나오면 stop을 입력합니다.

Done <XXs>! For help, type "help" or "?" 이란 문구가 서버가 열렸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stop이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stop은 모든것을 저장하고 서버를 끄는 명령어입니다.

게임을 그만 하고 서버를 끄고 싶으실때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계속 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라는 문구가 나오면 아무 키나 누릅니다. 그럼 창이 꺼집니다.

 

그 후 폴더를 보면

이렇게 못 보던 파일과 폴더들이 추가되었습니다.

 

잠깐! 이 파일들에 대한 설명!

plugins : 플러그인 폴더입니다.

world : 월드 중 일반 세계가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world_nether : 월드 중 지옥이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world_the_end : 월드 중 엔더월드가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32bit.bat, 64bit.bat : 서버 실행기입니다.

banned-ips.txt : 벤당한 아이피를 기록하는 파일입니다.

banned-players.txt : 벤당한 플레이어의 닉네임을 기록하는 파일입니다.

bukkit.yml : 버킷에 대한 설정입니다. 건드시면 안 됩니다.

craftbukkit-...... : 버킷입니다. 이것도 건드시면 안 됩니다.

help.yml : 버킷에 대한 도움말입니다.(영어)

ops.txt : OP(관리자)의 닉네임을 기록하는 파일입니다.

permissions.yml : 펄미션(플러그인 사용 권한)을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server.log : 서버 로그 파일입니다.

server.propeties : 서버 설정 파일입니다.

white-list.txt : 화이트 리스트를 활성화 시켰을 시 이곳에 닉네임이 기록된 플레이어만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server.properties파일에 오른쪽 클릭 - 속성 - 연결프로그램 변경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워드패드, 혹은 메모장 등으로 변경해 줍니다.

 

그 후 열어줍니다.


이렇게 뜨는데요

 

잠깐! Server.properties 파일에 대한 설명

앞에 #이 붙은 것들은 파일 내의 설명입니다.

generator-settings= : 이것은 뭔지;;;;;;

allow-nether= : 지옥에 갈수 있는지를 설정합니다. true는 갈 수 있고 false는 갈 수 없습니다.

level-name= : 월드 폴더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enable-query= : 이것은 건드시면 안 됩니다.

allow-flight= : 날 수 있는지를 설정합니다. true는 날 수 있고 false는 날 수 없습니다.

server-port= : 서버 포트입니다. 건들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level-type= : 이것도 뭔지;;;;;;

enable-rcon= : 이것도 건드시면 안 됩니다.

level-seed= : 월드의 시드를 설정합니다.

server-ip= : 서버의 아이피를 설정합니다. 하마치 네트워크에서는 하마치 아이피 25.XX.XX.XXX입니다.

max-build-height= : 블럭을 최대로 높이 쌓을 수 있는 칸 수를 설정합니다.

spawn-npcs= : NPC(주민)의 생성을 설정합니다. true는 생성되고 false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white-list= : white-list.txt파일에 닉네임이 기록된 유저만 들어올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true는 설정이고 false는 비설정입니다.

spawn-animal= : 동물의 생성을 설정합니다. true는 생성되고 false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snooper-enabled= : 이것도 뭔지;;;;;;

hardcore= : 하드코어 모드를 설정합니다. true는 하드코어이고 false는 일반입니다.

texture-pack= : 서버 텍스쳐팩을 설정합니다.

online-mode= : 온라인모드를 설정합니다. true는 정품 플레이어만 들어올 수 있고 false는 복돌 플레이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pvp= : 플레이어간에 싸울 수 있는지를 설정합니다. true는 가능하고 false는 불가능합니다

difficulty= : 난이도를 설정합니다.

server-name= : 서버 이름을 설정합니다

enable-command-block= : 서버 내에서 커멘드 블럭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설정합니다. true는 가능, false는 불가능입니다

gamemode= : 모드를 설정합니다. 0은 서바이벌 모드이고, 1은 크리에이티브 모드입니다.

max-players= : 서버의 정원을 설정합니다.

spawn-monsters= : 몬스터의 생성을 설정합니다. true는 생성되고 false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generate-structures= : 이것도 뭔지;;;;;;

view-distance= : 시야를 설정합니다

spawn-protection= : 이것도 뭔지;;;;;;

motd= : 서버의 간단한 설명을 설정합니다

 

이 중에서 server-ip, white-list, online-mode, gamemode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그 후 다시 구동기를 실행시켜 주시고

 

아까 처음 실행했을 때와 같은 문구가 뜨면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하시고(검은색창 구동기 끄면 안 됩니다!!)

 

멀티플레이를 클릭하셔서

 

서버 추가를 클릭하세요.


이름은 맘대로 설정하시고

 

서버 주소에 server-ip에 치신 아이피를 치시고 완료.

 

그리고 더블클릭을 하여 접속합니다.

 

접속이 되면 성공입니다. 안되시면 다시 한번 읽어보시고 그래도 안되시면 덧글로 질문 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강좌는 플러그인 넣기 입니다.

 

덧글로 질문 받습니다!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서버구축 강좌 1. 하마치

오늘부터 마인크래프트 서버 강좌를 쓰기로 했습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죠.


일단 하마치를 깝니다. 


다운로드 - 

hamachi.msi


설치 후 실행하면 이렇게 뜹니다. 설명에 따라 전원 켜기 버튼을 클릭.



그러면 이런 창이 뜹니다

클라이언트 이름은 자신이 원하는데로 입력하세요

 

 

자 전원을 켰습니다. 이런 창이 뜹니다(아이피는 보안상 가렸습니다).

 

여기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마치는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서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그 네트워크를 자신이 만들고 다른 사람이 가입하는것과 다른사람이 만든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둘의 차이는??  없습니다. 어떤 방법을 하셔도 멤버들끼리의 연결이 가능합니다. 단지 자신이 네트워크의 주인이 되느냐 아니냐입니다.

 

 

일단 직접 만드시려면 위쪽 메뉴의 네트워크 - 새 네트워크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런 창이 뜹니다.

 

이 창에서 네트워크 ID와 암호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네트워크 ID와 암호를 알려드리면 다른 분들이 가입이 가능합니다.

 

 

이번에는 가입 방법입니다.

 

위쪽 메뉴의 네트워크 - 기존 네트워크에 가입을 클릭합니다.



이번에는 이런 창이 뜹니다.

 

여기에 다른 사람이 알려준 ID와 암호를 치고 가입을 누르시면 가입이 완료됩니다.

 

여기까지 하마치 관련 강좌였습니다.

 

다음 강좌는 마인크래프트 서버 실행 및 설정 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요.

 

질문은 댓글로 받습니다~


※ 제 블로그에 있던거 가져온겁니다. http://jaedo98.blog.me 불펌이다 뭐다 하지 마세요

게임/게임리뷰 2013. 2. 23. 19:23

[게임소개] FPS - 배틀필드3 (Battlefield3)

안녕하세요.... heechun 입니다.

처음 포스팅이네요.

이번에 소개해 드릴 게임은 배틀필드 3입니다.

장르는 1인칭 FPS입니다.

- 배틀필드 3 로고. DICE 제작, EA 배급인 이 게임은 그래픽이 매우 좋기로 유명합니다.


배틀필드3가 정식 출시된 이후로

Back to Karkand


Close Quarters


Armored Kill


Aftermath 확장팩이 출시되었고


2013년 3월에 마지막 확장팩 End Game이 출시되었습니다.



그러면 일단 배틀필드3의 사양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최소사양

권장사양

CPU 

듀얼코어 2.0GHz 

쿼드코어

메모리(램)

2GB

4GB 

그래픽 카드

다이렉트X 10 지원, 그래픽 램 512MB 이상의 그래픽 카드

ATI 라데온 HD3870,

Nvidia 지포스 8800GT

 다이렉트X 11 지원, 그래픽 램 1GB 이상의 그래픽 카드

ATI 라데온 HD6950,

Nvidia 지포스 GTX560

운영체제

Windows Vista 서비스팩 1 (32비트)

 Windows 7 (64비트)

사운드 카드

존재

존재 

남은 하드디스크 용량

30GB

30GB 

역시 그래픽이 좋은 만큼 사양도 높네요 ㅎㅎ. 저도 그래픽이 GS여서 처음 접하고 1년간 못하다가 얼마전에 그래픽을 사서 하게됬네요.(사양자랑?<<퍽!)

자신의 사양을 보는 법은 이곳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 http://malemssday.tistory.com/entry/컴퓨터-지식-내-컴퓨터-사양-보기-CPU-Z의-사용법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배틀필드3에는 캠페인(싱글플레이), 멀티플레이, 협동 모드가 있습니다.

멀티플레이, 협동 모드는 정품 유저만 할 수 있습니다. 전 프리미엄 정품 유저지요 하하하(자랑질?<<퍽!)


그러면 그 유명한 배틀필드3의 그래픽을 보시겠습니다.

비교샷으로 보여드리죠

일단 첫번째 사진입니다

계단현상의 차이 입니다. 정면 약간 왼쪽의 나무 두그루를 잘 봐주세요

그래픽옵션 낮음


그래픽옵션 중간


그래픽옵션 높음


그래픽옵션 울트라

낮음은 계단현상이 있습니다. 그래도 그래픽이 다른 FPS에 비하면 매우 좋습니다.

옵션이 올라갈수록 계단현상이 줄어들죠. 잘 모르시겠다고요? 다음 사진을 보세요


다음 두번째 사진입니다.

이번에는 광원 효과입니다. 오른쪽의 건물들을 잘 봐주세요

그래픽옵션 낮음


그래픽옵션 중간


그래픽옵션 높음


그래픽옵션 울트라

옵션이 올라갈수록 계단현상이 많이 해결된것. 보이세요? 광원효과도 보세요.... 대단하지 않습니까? 건물 벽의 그림자가 점점 사실적으로 변합니다.

그래도 모르시겠다고요? 그럼 마지막 사진을 보세요 진짜 확실하게 차이납니다


그러면, 마지막 사진 입니다. 왼쪽의 건물들을 자세히 보세요.

그래픽옵션 낮음


그래픽옵션 중간


그래픽옵션 높음


그래픽옵션 울트라

확실히 보이시죠? 왼쪽 건물들을 보세요. 울트라옵이 확실하게 계단현상이 없습니다. 광원효과는 그냥 옵션에 상관없이 다 좋네요. 프로스트바이트2 엔진의 힘인가......


근데 울트라 옵션을 돌리려면 Nvidia 지포스 GTX670, ATI 라데온 HD7970정도는 되야 한다는;;;; 시세 50만원 이상입니다. 

찌발 뭐이리 비싸 ㅇㅅㅇ

이래도 모르시겠다고요? 뭐라고!! 장난해요? 안보여? 저게? 그러면 직접 사서 보시는 수밖에요......


그래픽 얘기는 이제 끝내고, 멀티플레이와 협동모드, 그리고 구입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멀티플레이와 협동모드는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정품만 가능합니다. 정품 사용자는 게임 실행시 배틀로그(http://battlelog.battlefield.com)라는 사이트로 연결됩니다.(정품자랑의도?<<퍽!)


일단 멀티플레이는 '멀티플레이어' 메뉴를 누르고 버튼을 누르시면 필터가 뜹니다.

이렇게 필터에서 플레이를 원하는 지역(서버가 존재하는 지역), 모드, 인원수, 맵 등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설정하신 후 새로고침 및 필터 저장을 누르시면 밑에 서버 목록이 뜨게 됩니다. 원하시는 서버를 클릭하시고 서버 입장을 누르시면 됩니다.

주로 일본 서버를 사람들이 많이 합니다. 수가 많고, 인터넷도 빠르기 때문이죠. 우리나라 서버는 수가 적습니다.


다음은 협동 모드입니다. 협동 모드는 친구와 둘이서 플레이를 하는 모드입니다.

이 협동 모드를 플레이해서 일정 점수를 얻으면 멀티플레이에서 쓸 수 있는 무기를 획득하게 됩니다.

참고로 이 팀블로그 운영팀 5명은 모두 정품입니다. 저기 친구목록에 보이는 4명이 나머지 4명이에요 하하핫! 결국 정품인증의도였던 멀티플레이 소개???

참고로 배틀필드3에서 제일 많이 뜨는 오류 해결법입니다.

배틀필드3 실행시 'DirectX Error-DirectX function.......'에러가 뜨시는 분은

이렇게 호환 모드를 'Windows Vista(서비스 팩 1)'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배틀필드3의 그래픽. 정말 굉장합니다. 이런 배틀필드3을 살 수 있는곳은? 오리진. 바로 이곳입니다 - http://store.origin.com

이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위쪽에 '등록' 이라는 버튼이 있을겁니다. 계정을 만드시고, 이메일 인증을 합니다.

그리고 일단 오리진을 다운로드합니다.' 등록' 버튼 옆부분에 'ORIGIN 다운로드' 버튼이 있습니다.

오리진 프로그램 설치 후 다시 오리진 사이트로 돌아와서 로그인 후 Origin 상단로고 바로 아래에 'Battlefield™'이라 써있는걸 클릭합니다. 

이제 구입하시면 됩니다.


구입하실 때는 배틀필드3 프리미엄 에디션을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확장팩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는 버전입니다.

근데 가격이 배틀필드3 원본 가격과 같다는;;;

※ 배틀필드3는 청소년 이용불가입니다. 생일을 입력하실 때 청소년 이하로 입력하시면 구입이 불가능합니다!!

※ 배틀필드3 프리미엄 에디션이 2013.02.27까지 27000원입니다. 정가는 45000원이고요.(구매유도?<<퍽)

구입 후 오리진 프로그램에 배틀필드3을 구입한z 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내 게임에 배틀필드3가 뜨실 겁니다.

다운로드를 해 주시고 실행시켜주시면 됩니다.


게임 설치폴더 변경은 상단메뉴의 'Origin-응용 프로그램 설정...-폴더 선택 다음 위치에 게임 설치:'부분에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에구...... 수정까지 2시간 걸렸네요......

자, 그럼 이만 끝내겠습니다. 이상 heechun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달고 가주세요!

'게임 > 게임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소개] 스포츠 - Football Manager  (0) 2013.08.09
[게임소개] 철도 시뮬레이션 - OpenBVE  (0) 2013.02.12
게임/게임리뷰 2013. 2. 12. 20:03

[게임소개] 철도 시뮬레이션 - OpenBVE

철도 시뮬레이션 하나를 소개합니다.

 

바로 'OpenBVE' 입니다.

 

현재 개발된 BVE2, BVE4 에 대한 기술적 한계가 느껴져 한 단체가 개발한 게임입니다.

 

공식사이트는 여러 변동이 생겨 다음 웹사이트로 추정하고있습니다.

 

1. https://sites.google.com/site/openbvesim/home

2. http://odakyufan.zxq.net/openbve/index.html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NET Framework 4.0 ( 다운로드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17851 )

 

- OpenAL 설치 ( 다운로드 :oalinst.exe  , 설치는 버튼하나면 끝납니다 ^^; )

 

 

BVE 는 애드온을 중시하는 게임입니다. 각 노선이나 차량에 따라 하드웨어 권장 사양이 변동이 있습니다.

 

 

메인 화면. 한글화가 되어있기때문에 조작은 어렵지 않습니다.

노선, 차량 선택은 탐색기랑 조작이 비슷합니다.

 

기능을 아는대로 말씀드리자면 :

 

 - 자동운전 기능

 - 열차 외부 및 내뷰 지원(열차지원여부)

 - 운전실 3D 뷰 지원(열차지원여부) 등

 

왠만한 기능 들은 지원을 합니다.

 

 

 

 

 

 

노선 차량은 요구받지 않으며, 커뮤니티를 통해 더 다양한 정보를 얻으실수있습니다.

 

-toruhost